본문 바로가기

일상/잡다한 세상 소식

현대차 주식, 현대 로템 매각? 철도 방산 플랜트, 지멘스 주식?

728x90
반응형
현대차그룹이 현대로템 철도 부문 매각을 추진 중이라는 소문이 금융권 등에서 나오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의 사업 부문은 크게 철도, 방산, 플랜트 세 가지로 구성돼 있으며, 철도 부문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인수 후보자는 독일 제조업체 지멘스 등이 거론된다. 지멘스는 프랑스 알스톰과 함께 세계 철도 시장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 4위 기업이다.


현대차그룹이 로템 철도부문을 매각하려는 것은 실적 부진 때문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로템 철도부문은 2018년 417억원, 2019년 2595억원, 지난해 116억원 등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신규 수주액이 2017년 3조8350억원에서 지난해 2조8000억원으로 1조원 이상 떨어지면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로템이 제작한 고속철 KTX-이음. 현대로템 제공<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철도 업계 관계자들은 현대로템 매각 소식에 우려를 쏟아내고 있다. 철도 체계와 철도 차량은 국가 기간 시설이며 산업인데 경제 논리만 따져 외국 업체에 넘기는 게 타당하냐는 지적이다. 현대로템은 국내서 유일하게 고속철 제조 기술을 보유한 업체다.


외국 업체에 팔릴 경우 한국철도공사는 고속철 차량을 외국 업체에서 구할 수밖에없다. 이럴 경우 자칫 ‘국제 호갱’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만의 고속철 도입 사례가 이를 잘 보여준다. 대만은 자체 고속철 기술이 없어 일본 신칸센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여객 수요가 늘면서 대만 정부는 2019년 신규 열차를 도입하기 위해 국제 입찰을 실시했는데, 이미 신칸센이 운영되고 있는 상황 등으로 일본 신칸센만 입찰에 참여하는 상황이 됐다. 경쟁자가 없었던 때문인지 일본은 신규 차량 편당 도입 가격을 크게 올렸다. 대만 현지 언론 매체 등에 따르면 일본은 신규 열차 편당 가격을 2012년 도입한 이전 모델 700T(45억9000만엔)의 2배가 넘는 108억원으로 제시했다고 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만이 터무니 없는 가격 인상에 분노해 구매 협의를 중단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자체 제작 기술이나 역량이 없으면 외국 기업이 이처럼 비상식적인 요구도 할 수 있고, 고속철 확장 계획 등에 큰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내 고속철도도 현대로템 차량에 특화돼 있어 신규 물량은 로템을 인수하는 업체가 독점할 가능성이 크다. 이럴 경우 가격 부풀리기 등이 발생해도 대처할 방법이 많지 않은 셈이다.


현대로템의 고속철 제작 기술과 노하우가 현대로템만의 소유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 고속철 기술은 철도기술연구원 등 국내 관련 연구소와 업체들이 공동으로 일군 ‘국가 자산’이며, 사회간접 자본인 만큼 
현대차
가 맘대로 매각할 대상이 아니라는 얘기다. 현대로템은 33.8% 지분을 가진 현대차가 1대 주주이며, 국민연금이 5%, 나머지 61.2%는 개인 투자자와 외국인 등이 보유하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국내 철도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잖다. 현대로템은 국내 최대 철도 차량 제조업체다. 자연스레 부품 업체들의 로템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하청 업체들도 상당수다. 해외 인수 업체가 제조 원가를 줄이기 위해 중국산 부품 등으로 대체할 경우 자칫 국내 부품 업체들이 고사할 수도 있다.


구조조정에 따른 노동자들의 실직 문제도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로템의 열차 제작 단가는 중국 등에 생산기지를 둔 경쟁 업체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건비 등이 비싸기 때문이다. 중국 등에서 반조립 상태의 객차를 들여와 최종 조립만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럴 경우 잉여 인력의 대량 해고 등이 따를 것이다.


현실화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남북철도 연결 사업의 수혜를 고스란히 외국 기업에 내주는 것도 안타까운 일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칫 해외에 국가 자산이나 기술을 팔아먹었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는 만큼 매각에 앞서 해외 수주 때 우리 정부의 지원을 받는 등 철도 부문을 살릴 수 있는 대책을 먼저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