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더나 백신 중단? 조기마감? 19일 추가예약? 모더나 마감? 화이자? 모더나 공급 확정?

728x90
반응형

55~59살 대상자 352만여명인데
모더나 공급확정 물량 185만명분만
15시간 만에 예약 채워 조기마감
정부 “19일 이후 추가예약”
접종 순차적 연기 가능성도 배제안해

12일 오후 서울 동작구민체육센터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7∼9월 현역병 입영 예정자가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연합뉴스

55~59살 352만여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모더나 백신 사전예약이 12일 시작한지 하루 만에 일시 중단됐다. 예정된 예약기간은 17일까지이나, 공급 일정이 확정된 185만명 물량에 대한 예약이 꽉 차버렸기 때문이다. 정부는 다음주 추가 예약을 받아 예정대로 접종하겠다고 밝혔으나, 향후 연령대별 접종 시기가 순차적으로 밀릴 가능성도 시사했다. 당장 백신 수급에 대한 불안과 혼란이 불가피해졌다.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수도권 특별방역점검회의’ 브리핑에서 “오늘 3시30분 기준으로, 7월26일부터 8월7일까지의 접종 일정에 대해 185만명이 예약을 했다”며 “현재 공급 일정이 확정된 물량에 대한 예약을 일시 마감한 상태”라고 밝혔다. 접종 대상자에게 사전 예고 없이 185만명까지로 예약을 조기 마감한 데 대해 이상원 질병청 위기대응분석관은 “이렇게 많은 수요로 인해서 불편을 초래해드린 점에 대해선 미처 충분히 판단을 못했던 점이 있다”면서, 수요 예측 실패를 이유로 들었다.당초 55~59살 352만4천명에 대한 백신 사전예약 기간은 이날부터 17일까지이며, 접종 기간은 오는 26일부터 다음달 8월7일까지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이날 저녁 “이번에 예약하지 못한 55~59살에 대해선 19일부터 추가 예약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구체적인 예약기간은 금주 중에 안내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추진단은 예약 기간에 변화가 생겼을 뿐, 접종은 차질 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백신 수급 일정에 따라 접종 일정이 조정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등 내부에서 엇갈린 메시지가 나오고 있다. 한 추진단 관계자는 “모든 상황은 백신 수급에 따라 일정이 임박해서 변경될 수도 있다”며 “(예약하지 못한 55~59살) 일부는 8월7일 안에 접종이 가능하고, 일부는 8월9일 이후로 연기될 수도 있을 것 같다. 7월 말~8월 초 도입 일정에 맞춰서 접종일이 분배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날 저녁 추진단은 ‘백신 예약 관련 큐앤에이(Q&A)’ 자료를 내어, ‘55~59살’과 ‘50~54살’ 접종 일정에 대해 “백신 공급날짜가 확정됨에 따라 기간 조정 가능”이라고 부연했다.백신 물량보다 예약자가 더 많아 접종이 밀렸던 상황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달 9일에는 화이자 백신 사전예약이 조기 마감돼, 미처 예약을 하지 못한 30살 미만 사회필수인력 등 11만명의 접종이 이달로 미뤄졌다. 또 지난달 중순에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 60~74살 중에 19만7천명이 초과 예약으로 접종이 미뤄져, 지난 5일부터 뒤늦게 화이자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여기엔 국외 제약사로부터 백신 공급 일정이 임박해서 통보되는 등 외부 요인도 있지만, 정부가 매번 수요 사전 예측에 실패해 예약에 혼란을 초래한 측면도 있다. 이때마다 예약 희망자들이 접종 연기나 선착순 조기 마감으로 혼란을 겪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빚어졌다.이번엔 4차 유행으로 신속한 접종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다 보니, 예약을 하지 못한 이들의 불만이 상당하다. 특히 이날 새벽엔 예약이 시작된 0시 이후 접속자들이 한꺼번에 몰려 접속 장애가 여러 시간 이어지는 등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기도 했다. 이상원 질병청 위기대응분석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소통이 좀 짧았던 부분에 대해선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정부는 8월까지 들어올 모더나 백신 물량을 고려하면, 50대 전체에 대한 접종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모더나사와 계약한 물량은 모두 4천만회분인데, 이날까지 86만2천회분만 들어왔다.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003247.html#csidxbbe21470dadfc5a9315130e330c180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