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중심의 확산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는 다음주 초까지 방역상황을 지켜본 뒤, 수도권에도 새로운 거리두기를 적용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예정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1일 "금주까지 상황을 보면서 다음주 초부터 수도권 지자체들과 중대본 차원에서 계속 논의가 될 것 같다"며 "주말까지 상황을 보면서 논의하되 다음주 중반즈음에는 결정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전날 정부와 수도권 지자체는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 적용을 일주일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수도권 지역의 확산세가 심각한 상황에서 방역조치가 완화되는 새로운 거리두기가 적용되는 것은 더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따라서 수도권은 1일부터 오는 7일까지 기존처럼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와 유흥시설 집합금지, 노래방·실내체육시설·식당·카페 등은 오후 10시까지만 매장 영업이 가능해진다.
관건은 일주일 뒤에는 거리두기가 개편될 수 있을지 여부다. 급격히 확산세가 줄어들지 않는 한 새로운 체계를 적용하기는 쉽지 않아 보이는 상황이다.
© 제공: 노컷뉴스1일 0시 기준 수도권 신규확진자는 전날에 이어 600명대로 집계되는 등 유행이 계속되고 있다. 경기도 영어학원-마포구 음식점 관련 집단감염에서는 인도 유래 델타변이 감염자가 9명 확인되기도 했다.
손 반장은 "특히 서울의 확진자 발생이 높아져 환자 수를 견인하고 있는 상태"라며 "60세 이상 환자는 오히려 비중도 줄고 절대 수도 줄고 있지만 전체 유행규모가 작아져야 하는데 20대를 필두로 20~50대 청장년층 환자가 증가하다보니 전체 환자도 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일단, 정부는 방역관리 상황을 지켜보며 지자체와 함께 거리두기 개편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인데, 확산세가 계속될 경우 수도권에는 현행 거리두기가 추가로 연장될 수도 있다.
손 반장은 "주말까지 상황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며 "수도권 지역이 방역대응을 어떻게 하려고 생각하는지도 중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정부는 유행을 축소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예방접종이라고 보고 있다.
손 반장은 "7월 4주차부터 50대 연령층에 대한 1차 접종이 집중 전개될 것"이라며 "8~9월에도 많은 인구에 대한 1차 접종이 이뤄지기 때문에 이번달을 어떻게 넘길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