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등교수업 확대? 수도권 등교 확대? 감염 위험? 전면 등교? 수도권 중학교 특성화고? 등교 확대?

728x90
반응형

3월부터 격주로 등교와 원격수업을 번갈아 해오던 대다수 수도권 중학교가 오는 14일부터 2주 등교 후 1주간 원격수업을 실시하는 방침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7일 수도권 중학교과 직업계고의 등교 확대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자녀의 흐트러진 생활·학습습관을 바로잡을 수 있다는 기대감과 과밀학급 내 코로나19 감염 위험에 대한 걱정이 교차하고 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2일 학습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2학기 전면 등교에 앞서 14일부터는 수도권 중학교와 특성화고 등 직업계고의 등교를 확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개학 이후 거리두기 2단계인 수도권 중학교의 등교율은 48%로, 비수도권 중학생(80.9%)과 1.5배 이상 차이가 난다. 같은 수도권 초등학교(67.7%), 고등학교(67.2%)에 비해서도 현저히 적다. 초등학교 1~2학년과 고3은 매일 등교하는데 반해 중학교는 전학년이 거리두기에 따른 밀집도 3분의 1을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14일부터 거리두기 2단계일 때 학교 밀집도 기준을 '3분의 1'에서 '3분의 2'로 완화해 수도권 중학교에서 하루 두 학년이 등교할 수 있도록 했다. 교육부는 수도권 중학교의 등교율이 70% 수준으로 높아질 거라 기대하고 있다. 직업계고는 거리두기 2단계까지 전면 등교가 가능해진다.

일선 학생·학부모 사이에서는 학교가 가장 안전하기 때문에 등교를 늘려야 한다는 의견과 마스크를 벗는 급식시간 등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최근 서울 강북구 고등학교와 노원구 고등학교 등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발생함에 따라 걱정은 더 커졌다.

 

최근 한 맘카페에서는 "우리 동네 초중고교 교내 밀집도가 최고라 중학교는 한 학년 당 학급당 평균 33명이고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도 마찬가지"라며 "학교에 갔으면 좋겠지만 가도 걱정이고, 누구 한 명 걸리면 한 학년 다 검사 받고 자가격리에 학원에서 꼬리에 꼬리를 물기도 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경기 용인 지역의 맘카페에서는 "학교를 안 가서 얻는 것보다 잃은 게 너무 많다"면서 "정상 등교하며 불안한 가정만 가정학습을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과 "아이들은 백신 접종 계획도 나오지 않아서 걱정은 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경기도의 한 마이스터고 1학년 자녀를 둔 A씨는 7일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실습을 늘린다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아직 백신 접종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막연하게 걱정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 뉴시스 [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0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학습 지원을 위한 대응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2021.06.02. ppkjm@newsis.com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학급당 학생 수가 30명 이상인 교실이 지난해 1만9628곳(8.4%)이다. 수도권에서 학생 수 25명 이상인 학급은 5만7675개(55.9%)다.

교원단체들은 학급당 학생수를 20명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내용의 법률안 통과를 촉구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지난 4일 국회 교육위원회에 "감염병으로부터 학생 안전을 담보하고 등교수업 보장을 위해서도 학급당 학생수 감축이 절대 필요하다"며 "30명 이상 과밀학급의 경우, 거리두기 자체가 불가능해 감염병 확산 위험이 높다"고 우려했다.

2학기 전면 등교를 추진하는 교육 당국의 움직임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경북과 제주에 이어 전남도교육청은 7일부터 전면 등교를 실시했다. 강원 등 학급당 학생 수가 적고 코로나19 확산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교육청에서도 1학기 중 등교 확대를 검토 중이다.

교육부는 지난 3일부터 오는 9일까지 학생·학부모와 교원들을 대상으로 전면 등교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설문에는 2학기 등교 확대에 대비해 가장 효과적인 학교 방역망 강화 방안, 2학기 등교 확대 후 학교에서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부분을 묻는 내용이 포함됐다. 교원 대상 설문에는 코로나19 대응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교육 당국의 정책을 묻는 항목이 담겼다. 교육부는 이달 중순 발표할 2학기 전면등교 로드맵에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할 계획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