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민 10명? 7명? 올해 집값?더 하락? 전세? 69.5%?더 내려갈 것?금리인상? 대출이자 부담? 최근 몇 년간 집값 급상승? 피로감? 집값 하락?정부 규제 완화 기대?경기회복 기대?금리인상 기조 둔화 기..

728x90
반응형

시민 10명 중 7명은 올해 집값이 더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세 역시 69.5%가 “더 내려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해 잇따른 금리인상으로 인한 대출이자 부담과 최근 몇 년간 집값 급상승으로 발생한 피로감이 올해는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강남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지난해 12월 12~26일 보름간 직방 애플리케이션 접속자 3089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7.7%가 자신의 거주지역의 주택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2일 밝혔다.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0.2%에 불과했다. 가격이 지금 수준이 머물 것(보합)으로 예상한 응답자는 12.1%였다.

특히 서울 응답자의 ‘하락’전망이 81.5%로 가장 많았다. 지방5대 광역시 거주자들도 80.7%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주택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담’이 58.2%로 가장 많았다. 경기침체 지속(19.5%), 현재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16.4%) 등 지난해 가격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던 이유들이 올해도 그대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10.2%에 불과하지만 주택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 전망한 응답자들의 응답이유는 ‘정부 규제 완화 기대’가 25.1%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회복 기대(17.5%)와 금리인상 기조 둔화 기대(15.6%), 전월세 상승으로 인한 매수전환(15.2%), 교통·개발계획 등 호재(12.7%) 등을 이유로 꼽았다.

직방 관계자는 “재건축, 재개발 정비사업, 보유세, 대출, 규제지역 등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연이은 추가 대책과 이에 따른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직방© 경향신문

올해 전세가격 역시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응답자의 69.5%가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보합은 17.4%, 상승은 13.1%로 각각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지역 거주자의 하락전망이 72.8%로 가장 높았으며, 지방5대 광역시도 70.2%로 뒤를 이었다.

전세가격 하락을 예상한 이유는 ‘전세대출 이자 부담으로 인한 전세 수요 감소’가 48.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최근 몇 년간 가격급등으로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8.2%),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12.6%), 갭투자 관련 전세매물 증가(11.1%)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응답(13.1%)한 사람들은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 증가(33.1%)’를 가장 큰 이유로 봤다. 이어 임대인의 월세선호로 전세공급 부족(23.0%), 신축·신규전세 공급 부족(16.3%) 순으로 답했다.

월세가격은 상승(36.6%)과 하락(36.1%) 전망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거주지별로는 수도권 거주자의 ‘상승’전망이 우세했으며, 지방5대 광역시와 지방 거주자들은 ‘하락’전망이 우세했다.

직방 관계자는 “응답자들은 매매와 전세 모두 현재의 가격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아 최근 1~2년 사이 급등했던 부분이 피로감으로 누적되며 하향국면을 전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면서 “올해도 주택시자아 침체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금리변동이 수요자들의 거래 움직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한다”고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