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콘텐츠?D23 엑스포?디즈니?韓콘텐츠?세계 공감?日보다 위상 커져?BTS 무대영상?스타워즈? 이정재 캐스팅?테마파크? 메타버스?AR 활용 ?빅마우스? 아시아?인도·영국·호주?

728x90
반응형

■K콘텐츠에 반한 'D23 엑스포' 축제 현장

디즈니 "韓콘텐츠, 세계 곳곳서 공감…日보다 위상 커져"

BTS 무대영상 등 호평…'스타워즈' 이정재 캐스팅도 관심

"테마파크와 연계, 메타버스·AR 활용 새 고객 경험 고민"

viewer

미국 로스앤젤레스 애너하임에서 9~11일(현지 시간) 열린 D23 엑스포에서 디즈니 팬들이 각자 분장한 캐릭터 의상을 뽐내고 있다. 사진(애너하임)=이경운 연수특파원



9일(현지 시간) 방문한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인근 도시 애너하임은 꿈과 희망의 나라였다. 내년 창립 100주년을 앞두고 디즈니가 11일까지 진행한 ‘D23 엑스포’로 도시 전체가 축제의 현장이 된 것이다. 과거 동심을 상징했던 백설공주·인어공주·신데렐라부터 최근 아이들에게 큰 인기를 끈 ‘겨울왕국(Frozen)’의 엘사까지 동화 세계 주인공들로 분장한 디즈니 팬들이 거리를 누비고 있었다.

마블과 스타워즈에서 나온 다른 디즈니 캐릭터들도 출연한 것은 물론이다. 행사가 열린 애너하임 컨벤션센터 앞에서 피터팬과 스파이더맨이 만나 같이 사진 촬영을 하는 모습은 감동적이기까지 했다. 엑스포를 위해 직접 백설공주 옷을 만들었다는 제시카 씨는 “지난해 팬데믹 때문에 못 열린 행사가 올해 열려 너무 기쁘다”며 “디즈니의 모든 것을 사랑한다”고 말했다.

백설공주·스파이더맨 변신한 팬들 총집결

팬들은 코스튬플레이 외에도 디즈니의 모든 것을 엑스포에서 즐길 수 있었다. 컨벤션센터 안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미키마우스부터 겨울왕국은 물론이고 어른들이 열광하는 스타워즈·마블 관련 상품들을 사려는 팬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다. 여기에 더해 센터 바로 앞에는 또 다른 대표 상품인 놀이공원 디즈니랜드가 있다. 이날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밥 체이펙 디즈니 최고경영자(CEO)는 “디지털 콘텐츠와 물리적인 세계를 혼합하는 것은 디즈니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며 “최근 디즈니랜드에 개장한 어벤져스 캠퍼스가 대표적”이라고 강조했다.

viewer

리베카 캠벨 디즈니 인터내셔널 콘텐츠·오퍼레이션 회장이 9일 열린 간담회에서 한국을 포함한 디즈니의 글로벌 콘텐츠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디즈니

BTS부터 빅마우스까지…디즈니 한국에 집중 투자

디즈니가 만들어가는 세계에서 K콘텐츠의 활약도 빼놓을 수 없다. 디즈니에서 글로벌 콘텐츠를 담당하는 리베카 캠벨 디즈니 인터내셔널 콘텐츠·오퍼레이션 회장은 10일 인터뷰에서 “우리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크리에이터들과 협업할 기회는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며 “한국 콘텐츠는 아시아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과거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서구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일본보다 이제 한국 콘텐츠의 위상이 더 커졌다는 평가다. 캐럴 초이 디즈니 아시아태평양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 총괄은 “특정 콘텐츠가 한 국가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사랑받고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효과 측면에서 한국은 일본을 넘어섰다”고 분석했다.

디즈니는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한국 콘텐츠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이달 초 스트리밍 플랫폼 서비스 디즈니+를 통해 공개한 ‘BTS: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말 LA에서 열린 방탄소년단(BTS) 콘서트 현장을 담은 콘텐츠로, 출시하자마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는 설명이다. 캠벨 회장은 “BTS 콘서트는 전 세계 소비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디즈니의 대표적 음악 콘텐츠”라며 “이 작품을 우리가 출시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드라마 중에서는 디즈니+를 통해 세계 시청자들과 만나고 있는 ‘빅마우스’가 대표적이다. 빅마우스는 아시아는 물론 인도·영국·호주 등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B1O21RIC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