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인사 등 20명 수사선상…당 대표 응하면 수사 집요해져추석 전 포토라인 민심에 부정적…특검·국조 즉각 반격에 집중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로 향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9.6/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뉴스1
(서울=뉴스1) 박상휘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검찰의 이재명 대표 소환에 맞서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검법 발의부터 대통령실 관저에 대한 국정조사까지 대여 공세의 수위를 바짝 끌어올리고 있다.
여기에 이 대표가 당초 검찰의 소환일이었던 6일 최종 불출석을 결정하면서 검찰과의 기싸움도 최고조에 달하는 모양새다.
민주당이 이같이 강공 모드로 돌아선 데에는 여러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검찰의 소환 등을 정치보복 및 야당 탄압으로 규정한 상황에서 초반부터 기싸움에 밀릴 경우 검찰의 수사에 걷잡을 수 없이 휘말리는 상황이 펼쳐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실제로 민주당은 전 정부 인사와 현역 의원을 포함해 최소 20명 이상이 검찰의 수사 선상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제1야당의 대표가 선뜻 검찰의 소환에 응할 경우 야당을 향한 수사가 더욱 집요해질 것을 민주당은 우려하고 있다.
추석 전 민심 형성도 불출석에 적지 않게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 관계자에 따르면 이 대표는 이날 오전까지도 출석 여부를 심각하게 고민했다고 한다.
애초 이 대표는 검찰에 출석하는 것에 무게를 뒀는데 허위 사실 공표 혐의가 부당하다는 점을 정정당당하게 검찰에서 소명하겠다는 뜻도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이 대표 성격상 고비는 언제나 정면돌파한다는 특유의 스타일도 있었다고 당 관계자는 전했다.
그러나 주위의 만류로 인해 이 대표는 불출석으로 최종 결정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당 고위 관계자는 "전날 중진 의원 오찬에서 비명(비이재명)계 의원들 마저 불출석하라고 권유했다"며 "과거를 돌아봐도 제1야당 대표를 이같은 혐의로 수사하는 것은 없었던 일이고, 이는 이 대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당 차원에서 모욕적인 행위로 규정했다"고 말했다.
특히 혐의를 떠나 추석 명절 전 이 대표가 포토라인에 서는 것만으로도 추석 민심에 부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는 만큼 향후 여론을 감안해서도 불출석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의 소환을 불출석으로 결정한 민주당은 곧바로 반격에 집중하고 있다. 이미 검찰의 기소를 기정사실화하고 벌써부터 향후 법정공방도 준비하는 모양새다.
아울러 국회에서는 다수당의 힘으로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특검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민주당은 김용민 의원이 이미 발의한 특검법을 기초로 추가할 것은 추가하고 덜어낼 것은 덜어내는 작업을 정책위원회에서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민주당은 수사의 범위와 특별검사의 추천 방식을 고안하는 대로 의원 전원의 명의로 특검법을 발의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민주당은 의원총회를 통해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당론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박성준 민주당 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이 공정과 상식을 얘기하는데 지금 관련 수사는 그것에 맞지 않기 때문에 특검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라며 "국민들은 수사를 통해 의혹이 밝혀지길 원하는 만큼 제도적으로 봤을 때 특검을 통해서 밝히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 이전공사 업체 선정과정에서 특혜 의혹, 대통령실 직원 사적 채용과 관련해 추진하기로 한 국정조사도 따로 계속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진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특검법은 특검법이고 국조(국정조사)는 국조"라며 "국회 본회의에서 국조 요구서가 제출됐음이 서면으로 보고됐고 이제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회의장이 양당 원내대표와 국조를 실시하는 방안을 놓고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특검법과 국정조사가 민주당의 뜻대로 순탄하게 흘러가지는 않을 전망이다. 여러모로 정무적 상황과 여론, 혹시나 모를 역풍 등 감안해야 할 요소들이 다분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국정조사의 경우 국정조사 계획서 성안은 여야 합의가 관례이고, 여전히 당 내에서는 신중론도 작지 않다.
당 관계자는 "여러모로 여론의 방향을 살펴봐야 하지 않겠느냐"며 "수사 등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서 진행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