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이전 방식에 “맞는지 의문” 두 차례 직접 ‘작심 비판’
윤 당선인 측 “5년간 권위적인 독재…국민에 예의 지켜라” 비난

문재인 대통령(오른쪽)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29일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두고 충돌했다. 문 대통령은 “안보가 엄중해지는 시기에 맞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윤 당선인 측은 문 대통령을 향해 “5년간 이어진 권위적인 독재”라고 했다. 소강 상태였던 신구 권력 갈등이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검찰 수사·기소 분리를 중심으로 다시 폭발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반대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직접 답변자로 나서 “개인적으로 청원 내용에 공감한다”며 “원래 (윤 당선인이) 공약했던 광화문 이전이 어렵다면, 그런데도 많은 비용을 들여 광화문이 아닌 다른 곳으로 꼭 이전해야 하는 것인지, 이전한다고 해도 국방부 청사가 가장 적절한 곳인지, 안보가 엄중해지는 시기에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외교부 장관 공관 등을 연쇄 이전시키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집무실 이전 추진 과정을 두고도 “국가의 백년대계를 토론 없이 밀어붙이면서 소통을 위한 것이라고 하니 무척 모순적이라고 느껴진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하지만 차기 정부가 꼭 (이전을) 고집한다면 물러나는 정부로서는 혼란을 더 키울 수가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그렇게 하지(협조하지) 않을 수 없는 우리 정부의 입장에 대한 양해를 구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의 청원 답변 영상은 지난 26일 촬영됐다.
문 대통령은 또 청와대에서 열린 군 주요 직위자 격려 오찬 간담회에서도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국방부·합참의 이전 때문에 혹시라도 그런 부분에서 빈틈이 있지 않을까 염려하시는데, 그런 걱정을 하지 않도록 더 철저한 방위태세를 유지해달라”고 말했다.
이에 윤 당선인 측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는 입장문을 내고 “청와대가 독재와 권위주의 권력의 상징이라던 문 대통령, 그 독재와 권위주의 권력의 마지막 대통령으로서 남은 임기 동안 국민께 예의를 지키기 바란다”고 밝혔다.
TF는 “문 대통령이 임기 종료 불과 10여일을 앞두고 집무실 이전과 청와대 개방을 ‘마땅치 않게 생각한다’는 말로 두 차례의 대통령 선거를 거치며 국민께 했던 약속을 다시 부정했다”고 밝혔다.
TF는 “문 대통령은 편 가르기를 위한 반대에 집중하며 대통령으로서의 품위를 저버리기보다는 국민의 이익을 위해 마지막으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면서 “그것이 지난 5년간 이어진 권위적인 독재를 엄중히 심판하신 국민께 대한 예의일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달 10일 20대 대통령 취임식을 앞두고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간 신구 권력 갈등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문 대통령은 박병석 국회의장의 검찰 수사·기소 분리 중재안에 긍정적 입장을 밝혔고, 윤 당선인 측은 국민투표 제안으로 맞서고 있다. 정부가 다음달 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한다고 밝히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현 정부에 공을 돌리려고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