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무실 거론 후 상승 기대감 속
지역 아파트 매물 3.2%나 감소
한남동 연립주택 100억에 팔려
일각, 시위 등으로 악재 전망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옮기기로 하면서 용산 개발 계획과 집값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21일 서울 용산구 이촌동 아파트 단지의 모습. 이재문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서울 용산구로 옮기기로 하면서 인근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용산 시대’ 개막을 계기로 주변 집값이 재평가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관측도 있지만, 지역 개발사업이 지연되고 생활 불편이 가중되는 등 부동산 악재가 될 것이란 반론도 만만치 않다.
21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대통령 당선인 집무실로 용산이 거론된 이후 용산구의 아파트 매물은 3.2% 감소했다. 언론보도를 통해 본격적으로 용산이 부각된 지난 16일 905건이었던 매물이 17일 899건, 18일 896건, 20일 891건, 이날(오후 3시 기준) 876건으로 닷새 연속 줄어든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전세는 774건에서 773건, 월세는 721건에서 726건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용산 지역 집값 상승 기대감으로 집주인들이 내놓았던 매물을 다시 거둬들인 결과로 보고 있다.
용산 중에서도 고가 주택이 많은 한남동과 동부이촌동의 강세가 눈에 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한남동에 있는 라테라스한남(244.22㎡)은 지난달 15일 역대 연립주택 매매가 중 역대 2번째에 해당하는 100억원에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연립주택 중 역대 최고 매매가 기록은 지난해 9월에 팔린 서울 서초구 트라움하우스 5차(273.64㎡)의 185억원이다.
한남동, 동부이촌동 외에도 용산개발 계획이 추진 중인 한강로동과 각종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인 보광동, 후암동, 청파동 등에서는 대선 이전부터 꾸준히 시세 문의가 늘어나고 있다.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용산은 예로부터 풍수지리가 뛰어나고 군사적 요충지이기도 해서 권력층이 많이 거주해온 지역”이라며 “강남권이 계속 재개발될 때 용산은 정체된 곳이란 이미지가 생겼는데, 집무실 이전을 계기로 재평가를 받게 되면 (부동산) 가치는 계속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고 관저는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쓰겠다고 밝히면서 용산구 일대 집값이 들썩이고 있다. 사진은 21일 주요 기관장들의 공관이 모여있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 일대. 뉴스1
다만 호재보다 악재가 많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하게 되면, 인근 집회·시위 발생에 따른 소음 공해나 경호 소요로 인한 교통 체증 증가 등 주변 생활 여건은 급속히 나빠질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윤 당선인은 부인했지만, 집무실 인근에 고도제한 등 추가 규제가 적용될 경우 현재 진행 중인 개발 사업이 속도를 내기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대통령의 안위를 위한 통제나 규제를 최소한으로 하더라도 주변 지역에 끼칠 불편함이나 재산권 행사의 제약에 영향이 없을 수는 없다”면서 “용산 주민이 누려야 할 가치의 상당 부분을 제한받으면서 집값이 하방 압력을 받을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