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삼성바오로직스에서 존림 대표이사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위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이르면 다음달부터 모더나 mRNA(메신저리보핵산) 코로나19 백신을 국내에 공급할 전망이다. 지난달 시제품 생산을 성공적으로 마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국내에 공급할 물량 양산에 돌입해 비축해 둔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강기윤 의원실에 따르면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측은 이날 인천 송도 제2공장에서 열린 국민의힘 코로나19 백신 태스크포스(TF)위원과 간담회에서 이런 내용을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모더나 백신 제조 판매품목 허가를 기다리고 있으며, 정부와 모더나의 백신 국내 도입 협의 진행에 따라 늦어도 10월 중 백신을 국내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고 한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식약처 품목허가만 마치면 곧바로 국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 물량을 비축해 뒀으며, 10월 첫째주 품목허가를 거쳐 이르면 10월 둘째주, 늦어도 10월 중에는 국내에 백신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강기윤 의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하는 모더나 백신의 국내도입으로 앞으로 안정적으로 백신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큰 기대가 있다”며 “정부는 국내 생산된 모더나 백신이 국내에 공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국민의힘 백신TF 위원들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제2공장을 방문해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점검 및 현안을 청취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측은 국민의힘에 반도체 공장 건설 시 6% 세액공제 받고 있는 데 반해, 바이오 공장 건설 시 세액공제는 1%에 불과하다며 바이오산업에 대한 정부지원을 대폭 늘리고, 이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