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은평구 증산4구역 모습. 한국일보 자료사진
정부가 '2·4 주택 공급대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의 수익 구조를 처음 공개했다. 이미 주민동의 3분의 2를 채운 서울 은평구 증산4구역은 용적률 295%가 적용되면 가구당 평균 부담금은 9,000만 원으로 추산됐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8일 오후 증산4구역에서 온라인으로 2차 설명회를 열어 주민들에게 용적률 인센티브와 예상 분담금 등을 공개했다.
증산4구역 사업계획안에 따르면 용적률은 295%로, 민간개발로 추진할 때 용적률(247%)보다 48%포인트 높다. 기부채납 비율은 6%포인트 줄어 대지면적이 기존 13만㎡에서 13만8,000㎡로 넓어진다.
이에 따라 공급 주택수는 4,112가구로 자력 개발(3,421가구)보다 691가구 늘어난다. 대신 4,112가구 중 20%인 824가구는 공공임대와 공공자가주택으로 10%씩 공급된다. 80%인 3,288가구는 토지 등 소유자에 대한 우선공급분(1,642가구)과 일반인을 위한 공공분양(1,646가구) 물량이다.
국토부는 이 사업에서 토지 등 소유자의 분담금 총액이 1,665억 원으로 민간개발(3,970억 원)보다 2,305억 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가구당 평균 분담금은 9,000만 원이다. 기존 자력 개발 시 분담금 2억3,000만 원에 비해 1억4,000만 원이나 적다.
정부는 전용면적당 수익성 분석 내용도 소개했다. 일반분양가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59㎡ 5억8,292만 원, 84㎡ 7억3,070만 원으로 추정했다. 토지 등 소유자에 대한 우선공급 가격은 일반분양가의 85%를 적용해 59㎡는 4억9,400만 원, 84㎡는 6억2,000만 원이 된다.
대지지분 33㎡(10평)짜리 빌라 소유주의 종전자산이 3억4,900만 원으로 평가될 경우 전용면적 84㎡ 분담금은 2억7,100만 원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아직 추정액이라 향후 사업 진행 과정에서 가격이 변동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주민 동의율이 높은 구역을 중심으로 이날부터 2차 설명회와 지구지정 제안을 하고, 내달 중에는 예정지구로 지정할 계획이다. 또한 △연신내역 △방학역 △쌍문역 동측 구역에서도 2차 설명회를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