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령대 서울 비아파트 매입? 20-30대? 아파트 매매? 서울 부동산 거래 연령? 서울 단독·다가구, 다세대·연립주택 월별 매입자 연령대?

728x90
반응형

[경향신문]

연령대별 서울 비아파트 매입 비중. 다방 제공
서울에서 올해 상반기 매매된 단독·다가구 등 비아파트 4가구 중 1가구는 20~30대가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부동산정보 플랫폼 다방이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단독·다가구, 다세대·연립주택 월별 매입자 연령대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매매된 4만3444가구 중 20대 이하(3274가구)와 30대(7404가구)가 총 1만678가구를 사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의 24.6%에 달하는 수치로 지난해 상반기(19.5%)보다 5.1%포인트 높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8326가구·19.2%)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컸으나, 지난해 상반기과 비교해보면 20대 이하와 30대 매수 비중은 각각 2%포인트, 3.1%포인트 늘어난 반면 50대 비중은 2.1%포인트 감소했다.

서울 자치구별 2030 비아파트 매입 비중. 다방 제공
2030 매수 비중이 큰 지역은 도심 업무지역과 가까운 마포구(35.4%)와 용산구(34.2%), 양천구(31.9%) 등이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 시청과 종각, 을지로 등 도심 업무지를 오가기 쉽고 재개발·재건축 같은 도시정비사업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대형 인프라 사업으로 향후 주거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들이다. 강남권 출퇴근이 수월한 성동구(29.6%)와 강서구(29%), 서초구(28.5%) 등도 2030 매수 비중이 서울 평균보다 높았다.

또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비아파트 거래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지난해 상반기 4만8298건을 기록했지만, 올해 상반기 2만9399건으로 39.1% 감소했다. 반면 올해 상반기 비아파트 매매는 전년보다 6.8% 증가했다.

다방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가 급등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주택 수요자들이 빌라 등 대체 주거상품을 매수한 것으로 보인다”며 “아파트보다 상품 경쟁력은 약해도 입지 경쟁력을 갖춘 도심 인근 지역 비아파트에 관심이 많았다”고 말했다.

반응형